‘관세 폭탄’에 신차 가격 수천불 오른다
━ 원문은 LA타임스 4월1일자 “What Trump‘s tariffs mean for car buyers” 기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자동차 및 부품 수입에 대한 25% 관세가 시행되면, 미국 내 신차 구매자들은 큰 폭의 가격 인상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가 부과하는 자동차 및 소형트럭에 대한 관세는 4월 3일부터, 엔진과 변속기 등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5월 3일 이전까지 적용될 예정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소비자들이 의존하는 주요 기업들의 공급망에도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2024년 미국에서 판매된 약 1600만 대의 자동차, SUV, 소형트럭 중 절반가량은 수입차였으며, 이들 차량은 멕시코, 일본, 한국, 캐나다, 독일 등 다양한 국가에서 수입됐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크 잰디는 “관세가 부과되면 자동차 제조업체는 가격을 올리거나 수익 감소를 감수해야 한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세를 부과하는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부과 이유로 국가 안보 강화와 미국 내 일자리 창출을 내세웠다. 제조업체들이 미국 내에 생산 시설을 세우도록 압박함으로써 제조업을 부활시키고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백악관 대변인 쿠시 데사이는 성명을 통해 “미국은 단순한 해외 부품을 들여와 조립하는 국가가 되어서는 안된다”며 “국가 안보와 경제 이익에 중요한 산업의 모든 공급망 단계를 지배하는 제조 강국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백악관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자동차 공급망을 붕괴시키면서 차량 생산에 차질이 생겼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발표 당시 “이제 기업이나 심지어 나라들이 미국에 와서 공장을 짓도록 유도하게 될 것”이라며, 가격이 결국 낮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미국 내 공장 건설은 수년이 걸리는 장기 과제이고, 일부 기업들은 규제 불확실성 때문에 미국으로의 공급망 이전에 주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또한 과거에도 관세를 협상 카드로 사용해 온 전례에 따라, 이번 조치도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 수단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의 이코노미스트 일한 게킬은 “관세로 이득을 보는 이는 없으며, 모두가 손해를 보게 된다. 다만 손해의 크기가 다를 뿐”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가격, 얼마나 오를까 차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전문가들은 신차 가격이 수천 달러 이상 오를 것으로 내다본다. 미국에서 제조된 차량이라도, 수입 부품이 포함되면 관세 적용 대상이 된다. 콕스 오토모티브의 수석 애널리스트 에린 키팅은 관세 대상 차량의 경우 가격이 15~20% 인상될 수 있으며, 관세 적용을 받지 않는 차량도 약 5%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녀는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고가 차량과의 경쟁이 생기면, 시장은 전반적으로 가격 인상을 수용하게 될 것”이라며, “중고차 가격까지 오를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잰디는 차량 1대당 가격이 5000~1만 달러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앤더슨 이코노믹 그룹은 캐나다·멕시코산 수입품 관세 발표 직후인 2월, 일반 차량은 4000~1만 달러, 전기차는 최소 1만2000달러 이상 가격이 오를 수 있다고 추산한 바 있다. 어떤 자동차 브랜드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까 유럽과 아시아에서 제조된 차량이 미국산보다 관세 타격이 클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수입 부품 의존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테슬라(Tesla)는 차량을 미국에서 생산하지만, 일부 부품은 해외에서 수입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 경영자(CEO)는 “테슬라도 관세의 영향을 피하지 못한다”며 “그 충격은 여전히 상당하다”고 밝혔다. 도요타(Toyota), 폭스바겐(Volkswagen), 현대(Hyundai), 제너럴모터스(GM) 등은 미국과 해외에서 모두 생산하고 있다. GM CEO 메리 바라는 1월 실적 발표에서 “GM은 미국, 멕시코, 캐나다에서 트럭을 생산한다”며 “공급망과 조립 공장 전반에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앨라배마와 조지아 공장에서 연간 120만 대 생산 규모로 미국 내 생산을 확대 중이라고 밝혔다. 딜러들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 차량 가격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이 구매를 미루면 딜러 판매량도 감소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토런스에 있는 볼보(Volvo) 딜러의 영업 매니저 주리 클라릭은 “현재로선 상황을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인근의 마틴 쉐보레(Martin Chevrolet) 딜러 매니저 스튜어트 몬테로소는 “고객들이 가격 인상 전에 구매하려는 움직임이 있어 바쁜 주말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부품이 워낙 여러 나라에서 오기 때문에, 물류망이 매우 복잡하다”며 관세가 실제 판매에 미칠 영향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글=퀴니 웡, 샌드라 맥도널드관세 폭탄 관세 부과 자동차 제조업체 자동차 부품